1. typeof 연산자
typeof 값
값의 자료형을 평가해서 문자열로 반환함
console.log(typeof 8 - 3);
위의 코드의 경우 8-3의 값이 5니까 5의 자료형인 Number가 출력될 것 같지만,
typeof의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높아 Number - 3 의 결과값인 NaN이 나오게된다.
우선순위를 주의해야한다.
2. true, false >>> 숫자로 형변환시 1, 0 으로 형변환된다.
0, NaN, '', null, undefined
Boolean으로 형 변환시 false가 나온다.
fasly라고 부른다.
3. +는 문자형 우선,
나머지는 숫자형 우선 연산을 한다.
ex)
console.log( 4 + '4'); >>> 문자열 44 가 출력된다.
console.log('4' / 2); >>> 숫자형 2가 출력된다.
4. null, undefined
null 값이 없음을 의도적으로 명시
undefined 값이 없음을 나타냄
5. 옵셔널 파라미터
파라미터에 기본값을 설정함.
function 함수 (파라미터1, 파라미터2=값){
함수 내용
}
'학습 > JS 학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DOM 관련 (0) | 2023.11.07 |
---|---|
[JS]Html문서의 태그 선택하기 (0) | 2023.11.06 |
[JS]자바스크립트 데이터 (2) | 2023.10.31 |
[JS]배열 간단 요약 (0) | 2023.10.31 |
[JS]객체 간단 요약 (0) | 2023.10.31 |